카테고리 없음

청년주택드림통장과청년드림통장비교

머니프랜드 2025. 9. 7. 00:05
반응형

1. 기존 청약(국민은행 청년주택드림) →신한은행청년드림통장 전환 가능 여부

  • 은행 간 단순 전환은 불가능합니다.
    청약저축(청년우대형 청약통장 포함)은 은행별 취급은 달라도 주택도시기금(국토부 관리) 상품이기 때문에, 보유 중인 통장을 해지하지 않고는 신한은행의 새로운 정책형 상품으로 “갈아타기”가 되지 않습니다.
  • 특히 서울시가 지정한 신한 청년 드림통장은 단순 청약상품이 아니라, 청약 기능 + 청년 지원금 조건이 결합된 별도 정책형 통장이라서 기존 국민은행 청약을 그대로 가져다 붙일 수는 없습니다.

2. 국민은행 청약 해지 후 신한 청년드림통장 신규 개설

  • 원칙적으로는 국민은행 청약을 해지하고 신한에서 새로 가입해야 합니다.
  • 다만 여기서 문제는 그동안 쌓아온 청약 납입 인정 기간 및 횟수가 사라질 수 있다는 점입니다.
    • 해지하면 납입 횟수·기간이 리셋 → 새 통장은 0부터 시작
    • 추첨제나 가점제에서 불리해질 수 있음

3. 다른 대안

  • 혹시 신한 청년드림통장이 추가 통장 개설 불가 조건이 아니라면,
    • 기존 국민은행 청약은 유지
    • 신한 청년드림통장은 별도 개설(비청약 기능 중심 혜택 활용)
      → 이렇게 병행이 가능한지 서울시 공고문이나 신한은행 지점에 반드시 확인하세요.
  • 일부 정책형 상품은 “타 은행 주택청약 가입자도 가능, 다만 중복 청약은 불가”라는 단서가 붙기도 하므로, 정확한 자격조건 확인이 필요합니다.

정리

  1. 단순 전환은 불가능 → 해지 후 신규만 가능
  2. 국민은행 청약을 오래 유지해 왔다면 무작정 해지하지 말고,
    • 청약 가점제 활용 가치 vs. 신한 청년드림 지원 혜택 중 무엇이 더 본인 상황에 유리한지 따져봐야 합니다.
  3. 실제 개별 사례마다 조건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신한은행 영업점 + 서울시 주택정책과 상담을 권장드립니다.

🔑 신한 청년드림 통장 주요 조건 (서울시 공식 공고문 요약)

  1. 대상: 서울시 거주 만 19~34세 청년 중 일정 소득 조건을 충족하는 자
  2. 지원 구조:
    • 본인 저축액 + 서울시 지원금 + 신한은행 매칭 지원금
    • 일정 기간(예: 3년) 납입 시 목돈 형성 가능
  3. 청약 통장과의 관계
    • 본인이 이미 다른 주택청약종합저축을 보유하고 있어도 가입은 가능합니다.
    • 다만 해당 드림통장은 청약 기능이 없고, 단순 적금+지원금 성격이라 기존 청약저축과는 별도로 운영됩니다.
    • 따라서 “기존 청약을 해지할 필요 없음”이 원칙입니다.

✅ 정리해드리면

  • 국민은행에 들고 계신 청년주택드림 청약 통장은 그대로 유지하세요.
    (그동안 납입한 기간과 횟수가 추후 청약 가점에 그대로 반영됩니다.)
  • 신한 청년드림통장은 청약용이 아니라 목돈 마련 지원형 적금 성격이므로, 추가 가입 가능합니다.
  • 즉, 굳이 국민은행 청약을 해지할 필요는 없고, 두 개를 병행하시면 됩니다

 

🔗 서울시 신한 청년드림통장 공고문 확인 방법

  1. 서울시 홈페이지 → 고시공고 검색
  2. 서울청년포털
    • 접속: https://youth.seoul.go.kr
    • 메뉴: 청년정책 → 금융지원 → 청년드림통장
    • 여기서도 PDF 공고문 원본 다운로드 가능
  3. 신한은행 홈페이지
    • 접속: https://www.shinhan.com
    • 검색창에 “청년드림통장” 입력
    • 신한은행 전용 안내 페이지 및 신청 방법 확인 가능

📌 핵심 확인 포인트

  • 중복가입 여부: 기존 국민은행 청약저축 유지 가능
  • 지원 방식: 본인 저축액 + 서울시 지원금 + 신한은행 지원금
  • 계약 기간: 보통 3년 만기 (해지 시 조건별 환급금 다름)
  • 대상 조건: 연령·소득 기준 충족 필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