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은 경제 상황과 물가 변동 등을 반영하여 수시로 개정되어 왔습니다. 특히 소액 임차인을 보호하기 위한 최우선변제금액과 그 기준은 여러 차례 상향 조정되었습니다. 아래 내용은 1984년부터 최근까지의 주요 개정 내용을 연도별로 정리한 것입니다.

    ※ 주의사항

    • 최우선변제금액은 **임대차계약 체결일(또는 담보물권 설정일)**을 기준으로 합니다.
    • 아래 표는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의 내용이며, 주택임대차보호법과 일부 다를 수 있습니다.
    • 표에 명시된 금액은 환산보증금 기준입니다. (환산보증금 = 보증금 + 월세 × 100)

    1. 1984년 ~ 2000년대 초기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이 제정되기 전, 주택임대차보호법의 소액임차인 보호 규정을 상가에도 일부 준용했습니다. 이 시기에는 보호 범위가 매우 제한적이었습니다.

    • 1984년 6월 14일 이전:
      • 특별시/직할시: 보증금 300만 원 이하 → 300만 원까지
      • 기타 지역: 보증금 200만 원 이하 → 200만 원까지
    • 1987년 12월 1일 이후:
      • 특별시/직할시: 보증금 500만 원 이하 → 500만 원까지
      • 기타 지역: 보증금 400만 원 이하 → 400만 원까지
    • 1990년 2월 19일 이후:
      • 특별시/직할시: 보증금 2,000만 원 이하 → 700만 원까지
      • 기타 지역: 보증금 1,500만 원 이하 → 500만 원까지
    • 1995년 10월 19일 이후:
      • 특별시/광역시(군 지역 제외): 보증금 3,000만 원 이하 → 1,200만 원까지
      • 기타 지역: 보증금 2,000만 원 이하 → 800만 원까지

    2. 2001년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제정 이후

    2001년 9월 15일,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이 제정되면서 상가 임차인의 권리가 보다 명확하게 보호되기 시작했습니다.

    • 2001년 9월 15일 이후:
      • 수도권 과밀억제권역: 보증금 4,000만 원 이하 → 1,600만 원까지
      • 광역시: 보증금 3,500만 원 이하 → 1,400만 원까지
      • 그 밖의 지역: 보증금 3,000만 원 이하 → 1,200만 원까지

    3. 2008년 개정 (보증금 상향)

    • 2008년 8월 21일 이후:
      • 수도권 과밀억제권역: 보증금 6,000만 원 이하 → 2,000만 원까지
      • 광역시: 보증금 5,000만 원 이하 → 1,700만 원까지
      • 그 밖의 지역: 보증금 4,000만 원 이하 → 1,400만 원까지

    4. 2010년 개정 (서울 지역 추가 구분)

    서울 지역의 특수성을 반영하여 별도의 기준으로 구분되었습니다.

    • 2010년 7월 26일 이후:
      • 서울특별시: 보증금 7,500만 원 이하 → 2,500만 원까지
      • 수도권 과밀억제권역(서울 제외): 보증금 6,500만 원 이하 → 2,200만 원까지
      • 광역시(과밀억제권역 및 군 지역 제외), 안산, 용인, 김포, 광주: 보증금 5,500만 원 이하 → 1,900만 원까지
      • 그 밖의 지역: 보증금 4,000만 원 이하 → 1,400만 원까지

    5. 2014년 개정

    • 2014년 1월 1일 이후:
      • 서울특별시: 보증금 9,500만 원 이하 → 3,200만 원까지
      • 수도권 과밀억제권역(서울 제외): 보증금 8,500만 원 이하 → 2,800만 원까지
      • 광역시 등: 보증금 6,500만 원 이하 → 2,200만 원까지
      • 그 밖의 지역: 보증금 5,000만 원 이하 → 1,700만 원까지

    6. 2018년 개정

    • 2018년 1월 26일 이후:
      • 서울특별시: 보증금 6,500만 원 이하 → 2,200만 원까지
      • 수도권 과밀억제권역(서울 제외): 보증금 5,500만 원 이하 → 1,900만 원까지
      • 광역시 등: 보증금 3,800만 원 이하 → 1,300만 원까지
      • 그 밖의 지역: 보증금 3,000만 원 이하 → 1,000만 원까지

    7. 2023년 개정 (가장 최근)

    상가건물 임대차보호법 시행령이 개정되면서 최우선변제금액 기준이 상향되었습니다.

    • 2023년 2월 21일 이후:
      • 서울특별시: 보증금 6,500만 원 이하 → 2,200만 원까지
      • 수도권 과밀억제권역(서울 제외), 용인, 화성, 김포, 세종: 보증금 5,500만 원 이하 → 1,900만 원까지
      • 광역시 등(군 지역 제외), 안산, 파주, 이천, 평택: 보증금 3,800만 원 이하 → 1,300만 원까지
      • 그 밖의 지역: 보증금 3,000만 원 이하 → 1,000만 원까지

    ※ 주의: 위 표는 2023년 2월 21일 이후 최초로 체결되거나 갱신된 임대차 계약에 적용되는 기준입니다. **계약 체결일(또는 담보물권 설정일)**이 이전에 속하는 경우, 이전 법령의 기준이 적용되므로 반드시 해당 시기의 기준을 확인해야 합니다.


    최우선변제권의 핵심 조건 (변동 없음)

    최우선변제금액은 시대에 따라 바뀌었지만, 최우선변제권을 행사할 수 있는 필수 요건은 큰 변화가 없습니다.

    1. 소액 임차인에 해당할 것: 임대차 계약 당시의 보증금액이 법이 정한 소액 임차인 범위 내에 있어야 합니다.
    2. 대항력(건물 인도 + 사업자등록)을 갖출 것: 경매 개시 결정 등기가 되기 전에 사업자등록을 신청하고 건물을 점유해야 합니다.
    3. 최우선변제금은 건물 가액의 1/2 한도 내에서 인정: 여러 명의 소액 임차인이 있을 경우, 최우선변제금의 총합은 건물 경매 낙찰가액의 1/2을 넘을 수 없습니다.

    상가 임대차 계약 시, 계약 시점의 법령과 해당 지역의 기준을 정확히 확인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궁금한 점은 관할 세무서나 법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반응형

    본문 바로가기 메뉴 바로가기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11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